맥북에 윈도우 10 설치하기: 간단한 가이드
맥북은 강력한 운영 체제인 macOS를 기본으로 제공하지만, 경우에 따라 윈도우 10을 설치하여 사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맥북에 윈도우 10을 설치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지만, 이 가이드를 따라 하시면 어려움 없이 설치하실 수 있습니다.
목차
- 준비물
- Boot Camp 설치 및 파티션 구성
- 윈도우 10 설치
- 윈도우 드라이버 설치
- 부팅 설정 변경
1. 준비물
맥북에 윈도우 10을 설치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준비물을 확인해야 합니다.
- 인텔 기반 맥북: M1칩 탑재 맥북은 윈도우 10 설치가 지원되지 않습니다.
- 최신 macOS: 맥북에 최신 macOS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 윈도우 10 설치 미디어: 윈도우 10 설치 DVD 또는 USB 드라이브가 필요합니다.
- 최소 64GB 이상의 여유 저장 공간: 윈도우 10 설치에는 상당한 저장 공간이 필요합니다.
- 인터넷 연결: 윈도우 10 설치 및 드라이버 설치를 위해 인터넷 연결이 필요합니다.
2. Boot Camp 설치 및 파티션 구성
- Boot Camp 지원 확인: Spotlight 검색에서 "Boot Camp 지원"을 검색하여 실행합니다. 만약 Boot Camp 지원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맥북이 인텔 기반이 아님을 의미합니다.
- Boot Camp 설치: Boot Camp 지원 앱을 실행하고 화면의 지침에 따라 설치를 진행합니다.
- 파티션 구성: 설치 과정에서 맥 드라이브의 일부 공간을 윈도우 10 설치를 위한 파티션으로 분할해야 합니다. 필요한 만큼의 공간을 할당하세요.
3. 윈도우 10 설치
- 윈도우 10 설치 미디어 삽입: 준비한 윈도우 10 설치 미디어를 맥북에 삽입합니다.
- 맥 재시동: ⌥ Option 키를 누르고 맥을 재시동합니다.
- 부팅 드라이브 선택: 윈도우 10 설치 미디어가 선택된 부팅 드라이브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윈도우 10 설치: 화면의 지침에 따라 윈도우 10 설치를 진행합니다.
- 라이센스 키 입력: 윈도우 10 설치 과정에서 윈도우 라이센스 키를 입력해야 합니다.
4. 윈도우 드라이버 설치
- Boot Camp 드라이버 다운로드: 맥북 모델에 맞는 Boot Camp 드라이버를 Apple 지원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합니다.
- 드라이버 설치: 다운로드한 드라이버를 설치하여 윈도우에서 맥북 하드웨어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5. 부팅 설정 변경
- 부팅 설정 메뉴: 윈도우 10 설치가 완료되면 맥 또는 윈도우 중 어느 운영 체제로 부팅할지 선택할 수 있는 부팅 설정 메뉴가 나타납니다.
- 기본 부팅 운영 체제 설정: 원하는 기본 부팅 운영 체제를 설정합니다.
주의 사항
- 맥북에 윈도우 10을 설치하면 macOS 저장 공간이 줄어들게 됩니다.
- 윈도우 10 설치 후에는 정품 윈도우 라이센스 키가 필요합니다.
- 맥북에서 윈도우 10를 사용하면 맥 일부 기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윈도우 10 업데이트 및 드라이버 설치는 윈도우 10 환경에서 진행해야 합니다.
마무리
위의 가이드를 따라 하시면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7에서 윈도우10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간단한 가이드 (0) | 2024.06.17 |
---|---|
윈도우 10 업데이트 설치 완벽 가이드: 최신 버전으로 손쉽게 업그레이드하세 (0) | 2024.06.17 |
생각보다 간단한 윈도우 10 설치 USB 만들기: 초보자도 손쉽게 따라 할 수 있는 (0) | 2024.06.17 |
구형 컴퓨터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윈도우 10 USB 설치 가이드 (0) | 2024.06.16 |
윈도우 비밀번호 분실: 다시 로그인하는 방법 (0) | 2024.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