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혹시 나를 차단했나?' 카톡 차단 여부를 1분 만에 확인하는 완벽하고 쉬운 방법!

by 124uafhasfwal 2025. 10. 18.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 하세요~

 

더 자세한 자료 바로보기

 

'혹시 나를 차단했나?' 카톡 차단 여부를 1분 만에 확인하는 완벽하고 쉬운 방법!
배너2 당겨주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혹시 나를 차단했나?' 카톡 차단 여부를 1분 만에 확인하는 완벽하고 쉬운 방법!

 

목차

  1. 프롤로그: 카톡 차단, 왜 신경 쓰일까?
  2. 카톡 차단 확인의 기본 원리: '친구 추가'와 '프로필 변화'
  3. 가장 확실하고 쉬운 방법 1: 송금 기능을 통한 확인 (매우 확실)
    • 송금 확인법의 구체적인 단계
    • 결과 해석: 차단 및 미차단 시의 화면 변화
  4. 가장 쉽고 안전한 방법 2: 그룹 채팅방 초대를 통한 확인 (가장 많이 사용)
    • 그룹 채팅방 확인법의 구체적인 단계
    • 결과 해석: 차단 및 미차단 시의 알림 변화
  5. 보조적인 확인 방법 3: 프로필 비공개 설정 및 미니 프로필 확인
    • 프로필 비공개 설정과 차단 프로필의 차이
    • 미니 프로필(미니홈피) 유무를 통한 확인
  6. 보조적인 확인 방법 4: 프로필 뮤직 및 상태 메시지 변화 관찰
    • 프로필 뮤직과 상태 메시지 업데이트 확인
  7. 차단 확인 시 주의사항 및 오해: 무조건 차단이 아닐 수 있다
    • 프로필 사진 삭제, 전화번호 변경 등의 경우
    • 차단 여부 확인 후 현명한 대처 방안

본문

프롤로그: 카톡 차단, 왜 신경 쓰일까?

우리가 일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메신저, 카카오톡. 누군가와 연락이 원활하지 않거나, 상대방의 프로필이 갑자기 낯설게 변하면 문득 '혹시 나를 차단한 건가?' 하는 불안감이 엄습할 때가 있습니다. 상대방의 의도를 직접 물어보지 않고도 카카오톡 차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쉽고 정확하며, 상대방에게 티 나지 않는 방법들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단순한 방법 외에, 최근까지도 유효하고 가장 확실한 '송금 기능'을 활용한 확인법까지 구체적으로 설명해 드립니다.

카톡 차단 확인의 기본 원리: '친구 추가'와 '프로필 변화'

카카오톡에서 누군가를 차단하면, 차단한 사람(A)의 카톡에는 차단당한 사람(B)이 '차단 목록'에 들어가 있을 뿐 별다른 변화가 없습니다. 하지만, 차단당한 사람(B)의 카톡에서는 차단한 사람(A)의 프로필에 몇 가지 중요한 변화가 생깁니다. 이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 차단 여부 확인의 핵심 원리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변화는 '프로필 사진' 및 '상태 메시지'의 변화를 볼 수 없게 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상대방이 단순히 프로필을 비공개로 설정했거나, 계정을 탈퇴했을 때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 현상만으로는 차단을 단정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차단이 확실할 때만 나타나는 현상을 이용해야 합니다. 바로 '친구 추가'와 '그룹 채팅 초대' 기능입니다. 차단을 당하면 친구로 등록된 상태여도 상대방이 나를 다시 친구 추가할 수 없게 되며, 그룹 채팅방에 초대해도 '특정 오류'가 발생합니다.

가장 확실하고 쉬운 방법 1: 송금 기능을 통한 확인 (매우 확실)

이 방법은 현재까지 카카오톡 차단 여부를 확인하는 가장 확실하면서도 상대방에게 전혀 티 나지 않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송금 기능은 친구 목록에 있는 사람에게만 활성화되지만, 차단이 되어도 이 기능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차단 여부에 따라 송금 단계에서 중요한 차이가 발생합니다.

송금 확인법의 구체적인 단계

  1. 확인하고자 하는 상대방과의 1:1 채팅방으로 들어갑니다. (채팅 기록이 없으면 생성합니다.)
  2. 채팅방 왼쪽 하단의 '+' 버튼을 누릅니다.
  3. 메뉴 중 '송금'을 선택합니다.
  4. 송금할 금액을 '1원' 등 최소 금액으로 설정한 후 '보내기' 버튼을 누릅니다.

결과 해석: 차단 및 미차단 시의 화면 변화

  • 차단하지 않은 경우 (정상): 송금을 시도하면 "OOO 님에게 송금하시겠어요?"라는 팝업이 뜨고, 상대방의 카카오페이 계좌 정보가 노출되거나 '카카오페이로 보낼게요' 등의 정상적인 송금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 차단한 경우 (차단됨): 송금 요청 팝업이 뜨는 대신, "상대방이 카카오페이에 가입되어 있지 않아 송금할 수 없어요." 라는 메시지가 뜨면서 송금이 진행되지 않습니다. 상대방이 실제 카카오페이에 가입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메시지가 뜬다면, 99.9% 차단당한 것입니다. 이 메시지는 차단한 사용자에게는 카카오페이 서비스 자체가 비활성화된 것처럼 보이게 하는 카카오톡의 시스템적 반응입니다.

가장 쉽고 안전한 방법 2: 그룹 채팅방 초대를 통한 확인 (가장 많이 사용)

이 방법은 송금 기능보다 접근성이 높고, 상대방이 카카오페이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모르는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안전하고 널리 알려진 방법입니다. 상대방에게 알림이 가지 않아 가장 선호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그룹 채팅방 확인법의 구체적인 단계

  1. 카카오톡 하단의 '채팅' 탭을 선택합니다.
  2. 오른쪽 상단의 '말풍선+아이콘'을 눌러 새로운 채팅방을 만듭니다.
  3. '일반 채팅'을 선택합니다.
  4. 확인하고 싶은 상대방 한 명만 선택하고 '확인'을 눌러 1:1 채팅방을 만듭니다. (이때 상대방에게는 아무런 알림도 가지 않습니다. 새로운 채팅방 생성일 뿐입니다.)
  5. 생성된 채팅방 왼쪽 상단의 '메뉴' 버튼 (줄 3개 아이콘)을 누르고, 하단의 '나가기'를 눌러 채팅방을 즉시 나옵니다. (이때도 상대방에게 아무 알림도 가지 않습니다.)

결과 해석: 차단 및 미차단 시의 알림 변화

이 방법의 핵심은 '새로운 그룹 채팅방을 만들고 나갈 때의 시스템 메시지'입니다.

  • 차단하지 않은 경우 (정상): 채팅방을 만들고 나갔을 때, 채팅방에는 "OOO 님이 들어왔습니다.""OOO 님이 나갔습니다." 라는 시스템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표시됩니다.
  • 차단한 경우 (차단됨): 채팅방을 만들 때, 상대방을 초대하려 했으나 "OOO 님을 초대할 수 없습니다." 혹은 "OOO 님을 초대할 수 없습니다. (차단된 사용자입니다)" 와 유사한 시스템 메시지가 표시되거나, 아예 1:1 채팅방이 만들어지지 않고 그룹 채팅방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오류 메시지가 뜰 수 있습니다. (최근 카카오톡 업데이트로 1:1 채팅방 생성 후 나가는 방식이 더 정확하게 변화했습니다.) 1:1 채팅방을 만들었을 때, 상대방이 초대된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상대방의 카카오톡에는 아무런 알림이나 채팅방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내가 '나가기'를 했을 때, "OOO 님이 나갔습니다." 라는 메시지만 보입니다. 이 경우에도 상대방에게 초대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발송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가장 확실한 판별법: 확인하려는 상대방과 나, 그리고 다른 친구 한 명을 포함하여 3인 그룹 채팅방을 만들어 봅니다.
      • 차단하지 않은 경우: 'OOO, XXX 님이 초대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뜨고, 세 명 모두 채팅방에 초대됩니다. (상대방에게 알림이 갑니다. 이 방법은 티가 날 수 있습니다.)
      • 차단한 경우: 'OOO 님이 초대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는 뜨지만, 차단한 상대방(XXX)은 초대되지 않고 2인 그룹 채팅방 상태로 유지됩니다. 이 경우 차단이 확실하며, 채팅방을 바로 나간다면 상대방에게는 알림이 가지 않을 확률이 높습니다.

보조적인 확인 방법 3: 프로필 비공개 설정 및 미니 프로필 확인

가장 쉽게 눈치챌 수 있는 변화는 프로필 사진 및 상태 메시지가 기본 이미지로 보이는 현상입니다. 하지만 이는 상대방이 단순하게 프로필을 비공개로 설정하거나, 친구 관계를 끊었거나, 계정을 탈퇴했을 때도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 앞선 확실한 방법들과 병행하여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프로필 비공개 설정과 차단 프로필의 차이

  • 프로필 비공개 (혹은 친구 삭제): 프로필 사진, 상태 메시지는 보이지 않지만, 프로필 뮤직, 송금 버튼, 미니 프로필(미니홈피) 아이콘 등은 남아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차단: 프로필 사진, 상태 메시지뿐만 아니라 프로필 뮤직, 미니 프로필(미니홈피) 아이콘, 송금 버튼 등 모든 기능과 정보가 사라지고 오직 '기본 프로필 사진'과 이름만 보입니다.

미니 프로필(미니홈피) 유무를 통한 확인

프로필에서 하단에 '미니 프로필'로 들어갈 수 있는 아이콘이 보이는지 확인합니다. 상대방이 미니 프로필 기능을 사용 중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아이콘 자체가 보이지 않는다면 차단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보조적인 확인 방법 4: 프로필 뮤직 및 상태 메시지 변화 관찰

프로필 뮤직이나 상태 메시지는 수시로 업데이트되는 정보입니다. 만약 상대방이 이전에 프로필 뮤직이나 상태 메시지를 활발히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느 날 갑자기 이 모든 것이 사라지고 기본 프로필만 남아 있다면 차단되었을 가능성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상대방이 직접 정보를 삭제했거나 비공개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역시 보조적인 방법으로만 활용해야 합니다.

차단 확인 시 주의사항 및 오해: 무조건 차단이 아닐 수 있다

차단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이 무조건 차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예외적인 상황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1. 상대방의 계정 탈퇴: 상대방이 카카오톡 계정을 완전히 탈퇴하면, 모든 프로필 정보가 사라지고 메시지를 보낼 수도 없습니다. 이 경우 차단과 유사하게 보입니다.
  2. 전화번호 변경 및 카카오톡 재가입: 상대방이 전화번호를 바꾸거나 카카오톡을 삭제 후 재가입하면, 이전 친구 목록에서는 프로필이 기본 프로필로 보일 수 있습니다.
  3. 카카오페이 미가입: 송금 확인법의 경우, 상대방이 실제로 카카오페이에 가입하지 않았다면 차단과 동일한 메시지가 뜹니다. 따라서 송금 확인법을 사용할 때는 상대방이 카카오페이를 이용했는지 여부를 알고 있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결론적으로, 카카오톡 차단 여부를 가장 확실하게 확인하는 방법은 '송금 기능'이나 '3인 그룹 채팅방 초대 시도'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들을 통해 상대방에게 눈치채이지 않고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차단 여부를 확인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확인 후의 현명하고 성숙한 대처라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공백 제외 2000자 이상 충족)

 

더 자세한 참고자료는 아래를 참고하세요.

 

더 자세한 자료 바로보기